2008년 봄풍경

이제 서울도 봄기운이 완연합니다. 집 앞의 풍경은 이렇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화와 너무 닮았지만 앵두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친구는 라일락인데 금방 특유의 향내음이 나겠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5월의 여왕 장미도 제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튜울립의 꽃대도 잘 자라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친구는 더덕입니다. 갑자기 막걸리가 생각나는군요.

'Life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공원  (0) 2007.06.30
문화유산 답사기  (0) 2007.05.14
세월의 흐름  (0) 1997.05.01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청운교/백운교, 연화교/칠보교

불국사 입구에 자리하는 청운교, 백운교 입니다. 아래쪽이 푸른 청춘을 표시하는 17단의 청운교이고, 위쪽이 흰머리 노인을 상징하는 16단의 백운교입니다.
보낸 사람 불국사
아래 사진은 청운교 아래를 지나는 아치형 통로입니다.


아래에서 왼쪽 끝에 보이는 계단이 연화교와 칠보교인데, 위/아래로 서로 다른 돌의 모양을 배치하는 것으로 천상과 지상 세계를 구분하고 있다 합니다.
보낸 사람 불국사
아래 사진은 청운교, 백운교의 좌측 모습입니다.
보낸 사람 불국사

'Rema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에서 보는 낙동강  (5) 2008.02.01
고창읍성  (1) 2007.06.30
선운사[禪雲寺]  (1) 2007.06.23
내소사  (0) 2007.05.14
"To collect photographs is to collect the world." Susan Sontag  (0) 2005.07.12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에서 보는 낙동강

<A HREF="http://www.liketree.net/view/36">한마디:대운하 건설을 반대합니다.</A>

이런 곳은 있는 자연 그대로 보존해야 더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닐까요?
 


사진은 2007년 5월에 잡아 놓았는데, http://tagstory.com에서 영상포토 서비스 오픈한다는 메일이 왔길래, 만들어 보았습니다.

'Rema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운교/백운교, 연화교/칠보교  (0) 2008.02.12
고창읍성  (1) 2007.06.30
선운사[禪雲寺]  (1) 2007.06.23
내소사  (0) 2007.05.14
"To collect photographs is to collect the world." Susan Sontag  (0) 2005.07.12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삼성 VLUU i85로 잡은 겨울 장면

지난번에 눈 왔을 때에 새로 장만한 삼성 VLUU i85로 잡은 집 근처의 장면들입니다. 16:9의 와이드 모드로 3264x1836의 해당도였을 경우 대략 1.5M 정도의 크기코 나오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Vi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X20으로 잡은 야경  (0) 2012.07.11
NX20 구입 기념  (1) 2012.06.28
매발톱  (0) 2008.05.03
갤러리 블로그 리뉴얼 하다.  (0) 2008.01.30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갤러리 블로그 리뉴얼 하다.

태터에서 텍스트 큐브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난 이후,  갤러리형 블로그 Photoline 스킨 (태터툴즈용) 를 설치하려니, 엄두가 나지 않아 오랫동안 방치하다 드디어 마무리를 지었네요.

다른 부분은 zippy의 설명대로 하면 되지만 J.Parker님의 썸네일 플러그인은 Textcube 1.6 Alpha/Beta 최근 버전 사용자의 경우에 썸네일 플러그인 다운로드(2008년 1월 9일) 버젼을 설치하지 않으면, Apache Internal Error를 내면서 블로그가 돌지 않더군요. 두 분에게 큰 감사를 드립니다. 다시 봐도 너무 마음에 드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화면이 이전된 화면인데, 이상한 것은 외부 링크 이미지의 경우 <img ..>태그로는 정상적인 화면인데, 썸네일을 만들지 못하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원인을 잘 모르겠는데..

'Vi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X20으로 잡은 야경  (0) 2012.07.11
NX20 구입 기념  (1) 2012.06.28
매발톱  (0) 2008.05.03
삼성 VLUU i85로 잡은 겨울 장면  (0) 2008.01.31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고창읍성

◆고창읍성의 연혁
고창읍성은 조선 단종원년(1453년)에 왜침을 막기 위하여 전라도민 들이 유비무환의 실기로 축성한 자연석 성곽이다.
일명 모양성이라고도 하는 이성은 나주진관의 입암산성과 연계되어 호남내륙을 방어하는 전추기지로서 국난호국을 위한 국방 관련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1965년 4월 1일 사적 제 145호로 지정된 이 성의 둘레는 1,684m 높이가 4∼6m, 면적은 50,172평으로 동, 서, 북문과 3개소의 옹성, 6개소의 치성을 비롯하여 성 밖의 해자 등 전락적인 요충시설이 두루 갖추어져 있다. 성내에는 동헌, 객사 등 22동의 관아건물과 2지 4천이 있었으나 전화로 소진되고 성곽과 공북루만 남아 있던 것을 1976년부터 옛 모습대로 복원해 오고 있다.

◆고창읍성의 축성목적
고창읍성의 축성은 민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어떤 목적으로 축성했을까? 지역적인 여건과 성의 필요성을 살펴야 할 것이다.
산은 성과 연결이 잘 되는 곳에 축성하게 되는데, 고창읍성에서 제일 가까운 곳에 입암산성이 있으며, 입암산성은 나주진관과 더불어 호남내륙을 방어하는 요충지였다.
호남내륙에서 한양에 갈때는 노령산맥이 갈재를 넘어야 했다. 그런데 갈재는 험준하고 방장산과 입암산을 끼고 있어 도적떼들이 한양가는 행인을 괴롭히고 봉변을 주는 곳이었다. 이러한 곳을 지키고 영광, 고창, 장성 등 부근지역의 농산물과 해산물을 법성포를 통해 반출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입암산성이 담당했었다. 서해안을 노략질하는 왜구도 입암산성을 막아야 하는데, 입암산성과 법성포와 고창, 영광 지역은 너무 멀어, 왜구나 도적들이 출몰했다는 전갈을 박고 입암산성에서 출영했을 때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 된다. 결국 입암산성의 힘이 크게 미치지 못해 서해안 일대를 지키는 전초기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것이다. 고창읍성은 그래서 축성되어 호남내륙을 왜구의 노략질로부터 지켜왔다.

◆고창읍성의 축성방식
고창읍성은 어떤 방식으로 축성되었을까? 성을 쌓기 위한 그 많은 석재를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운반해 왔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쌓았는지 정확히 알길이 없으나 다만 표석이라는 성벽에 새겨진 글로 확인했을 때 김제, 정읍, 진안, 장성, 고부, 용담, 영광, 무장, 능주 등의 지명이 새겨져 있어 구역제로 맡아서 축성에 동원된 것을 확실하며 담양, 함평, 나주, 제주 주민까지 동원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는 없다.
축성에 사용된 석재는 거의 자연석이지만 초석, 대리석, 당간지주 등 어느 절에서 나온 듯한 석재들을 깨뜨려 쓴 것도 가끔 끼여 있다. 특히 북문인 공북루의 주츳돌 높이는 제각각이라서 1m 쯤 되는 것이 있는가 하면 아예 땅에 깔려 기둥이 바닥까지 내려 온 것도 있어서 이채롭다.

◆고창읍성의 특징
조선시대의 읍성들은 평야 지대에 양면을 돌로 쌓아 만들고 성문위에는 누각을 지어 적을 감시하고 전투를 지위했으며 성내에서는 관민이 함께 생활하였다.
그런데 고창읍성만이 나지막한 야산을 이용하여 바깥쪽만 성을 쌓는 내탁법 축성을 비법으로 사용하였으며, 성문 앞에는 옹성을 둘러 쌓아 적으로부터 성문을 보호 할수 있도록 축성하였다.
또한, 성내에는 관아만 만들고 주민들은 성밖에서 생활하다가 유사시에 성안으로 들어와 함께 싸우며 살수 있도록 4개의 우물과 2개의 연목을 만들어 놓았다.
성벽에는 축성에 참여했던 고을 이름과 축성연대가 새겨져 있어 계유년(1453)에 전라 좌우 도민들이 모두 참여하여 축성했음을 알 수 있다.

◆고창읍성의 답성(성 밟기) 놀이
고창읍성의 답성민속은 성돌이, 성밟기에 그 어원을 도구 지금까지 우리네 고유민속으로 전래되고 있다.
성을 밟으면 병이 없어 오래살고 저승길엔 근락문에 당도한다는 전설 때문에 매년 답성놀이 행사가 계속되고 있으며, 성밟기는 저승문이 열리는 윤달에 해야 호험이 많다고 하며 같은 윤달에라도 3월 윤달이 제일 좋다고 한다. 또한 엿새날이 '저승문이 열리는 날'이라하여 '초엿새', '열엿새', '스무엿새' 날에 답성대열이 절정이 이루고 있다.
성을 "한바퀴 돌면 다리병이 낫고, 두바퀴 돌면 무병장수하며, 세바퀴 돌면 극락승천한다'고 한다. 성을 돌 때는 반드시 손바닥만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세바퀴 돌아 성 입구에 다시 그 돌을 쌓아 두도록 되어 있다.
고창읍성이 아낙네들의 힘만으로 축조 되었다는 전설적 사연으로 답성도 부녀자들만의 전유민속이 되었지만 흙 한줌, 돌 한 개도 모두가 부녀자들의 손과 머리로 운반, 구축되었던 당시의 대역사를 되새겨 보는 뜻으로 돌을 머리에 이고 도는 풍습이 남아있다. 또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도는 관습은 여인네들의 체중을 가중시켜 성을 더욱 단단히 다지게 하는 의도였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깊은 뜻은 이 성곽의 축성배경이 왜침을 막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유사시의 석전에 대비하는 유비무환의 예지로서 머리에 인 돌을 성안에 쌓아 두고 갔다는 전설도 모두가 호국의 예지를 빛네주는 이야기들이다.
고창군에는 답성민속을 기리기 위해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을 국민의 날로 정하고 「모양성제」와 함께 답성놀이를 재현하고 있다.

1.6KM를 머리에 돌이 올리고 걸으면 건강에 큰 도움이 되겠지요.

유사시를 대비한 성 안에도 양반들이 먹고 노는 정자를 지었으며 연못까지 만들었다.

만드는 민초들은 얼마나 힘이 들었을까?

관청의 모습이다.

성곽의 길 바닥은 시멘트와 같이 단단한 진흑으로 만들어졌다.

망루에서 본 성곽의 모습이다.

'Rema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운교/백운교, 연화교/칠보교  (0) 2008.02.12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에서 보는 낙동강  (5) 2008.02.01
선운사[禪雲寺]  (1) 2007.06.23
내소사  (0) 2007.05.14
"To collect photographs is to collect the world." Susan Sontag  (0) 2005.07.12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하늘공원


토요일 오후 햇살이 좋은 날에 상암동 하늘공원에 억새를 보러 나섰지요.

요즘 억새축제도 하고, 가을 풍경이 좋기 때문에 사람이 인산인해이더이다.

집이 상암동과 가까워 3시 반에 집을 나서, 하늘공원에 도착하니 오후 5시경입니다.

억새밭을 좀 다니다 운 좋게 맑은날의 석양을 만났지요.




하늘공원 올라가는 길의 난지천공원입니다.

가을 햇살과 억새가 잘 어울립니다.



서울에서 시간 들이지 않고 이런 억새를 볼 수 있는 곳은 하늘공원이 유일하지 않을까 합니다.



아직은 억새가 푸른빛을 많이 띄고 있습니다.

내주 쯤에는 더 보기 좋을 것입니다.



사람들이 인산인해지만 억새는 잘 보호되고 있습니다.



단풍이 곱게 들어가는 풍경인데, 나무의 주인공의 싸리나무입니다.

마당비를 만들 때 쓰는 나무이지요.



억새 사이로 보는 석양은 저도 처음이지요.



나무 뒤로 불덩이가 떨어짐.




풍력발전을 하는 풍경을 이제 서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석양의 해 떨어지는 순간은 순신간에 이루어집니다..

편한 자리에서 운이 좋게 모든 순간을 본 것은 큰 행운입니다.


15일까진가는 밤 7시부터는 하늘공원에서 공연도 있고, 밤길 걷기 행사도 열립니다.

시간의 여유가 없어신 동창께서는 잠시의 틈을 내어 하늘공원에서 가을을 느껴 보심도 좋을 듯 합니다.





하늘공원 정상입니다.

'Life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봄풍경  (0) 2008.04.06
문화유산 답사기  (0) 2007.05.14
세월의 흐름  (0) 1997.05.01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선운사[禪雲寺]

고창읍에서 30분정도 그리 크지 않은 산길을 달리면 고찰 선운사를 만나게 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의 본사로 《선운사사적기(禪雲寺寺蹟記)》에 따르면 577년(백제 위덕왕 24)에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창건하였으며, 그후 폐사가 되어 1기(基)의 석탑만 남아 있던 것을 1354년(공민왕 3)에 효정선사(孝正禪師)가 중수하였다.

1472년(조선 성종 3) 부터 10여 년 간 극유(克乳)가 성종의 숙부 덕원군(德源君)의 후원으로 대대적인 중창을 하였는데 정유재란(丁酉再亂)으로 본당을 제외하고 모두 불타버렸다.

창건 당시는 89개의 암자와 189채의 건물, 그리고 수도를 위한 24개소의 굴이 있던 대가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1613년(광해군 5)에는 무장(茂長)현감 송석조(宋碩祚)가 일관(一寬)·원준(元俊) 등 승려와 함께 재건을 도모, 3년에 걸쳐 대웅전·만세루(萬歲樓)·영산전(靈山殿)·명부전 등을 건립하였다.


사진을 찍지 못했는데 대웅전 뒷편에 동백나무 숲이 있는데, 아주 오래된 동백나무들이 많이 있다.

이 절은 불교의 기본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왕성해지고,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주장하던 선종(禪宗)에서도 선리(禪理)를 근본적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운동이 일어나던 조선 후기에, 조사선(祖師禪)의 본연사상을 임제삼구(臨濟三句)에 입각하여 해결해 보려고 시도한 불교학자 긍선(亘璇)이 처음 입산수도한 절이기도 하다.

주요 문화재로는 보물 제279호인 금동보살좌상(金銅菩薩坐像), 보물 제280호인 지장보살좌상(地藏菩薩坐像)이 있으며, 대웅전(大雄殿)도 보물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다.


7층 석탑



BGM : 송창식 - 선운사

바로 옆의 계곡에는 꽤 수량이 많은 냇물이 흐로고 있다. 절 주변은 보기드문 울창한 산림이 보존되어 있는데,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의 활엽수가 많다. 냇물의 색이 꼭 오염된 것 같이 흐릿하게 보이는데, 많은 활엽수의 수액 때문에 그리 보인다고 한다.

'Rema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운교/백운교, 연화교/칠보교  (0) 2008.02.12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에서 보는 낙동강  (5) 2008.02.01
고창읍성  (1) 2007.06.30
내소사  (0) 2007.05.14
"To collect photographs is to collect the world." Susan Sontag  (0) 2005.07.12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레디앙에 대해




-우리 사회 왼쪽 날개를 위해
레디앙은 정치적 입장을 가집니다. 우리 사회의 왼쪽 날개를 자임합니다. 오른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진 사회가 정상적으로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 왼쪽으로 구부려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레디앙은 이 역할을 담당하려 합니다.

-공정한 언론을 향해
정치적 입장이 있다는 것과 언론으로서 공정성을 유지한다는 것은 양립 가능하다는 것이 저희의 믿음입니다. 정치적 주장을 위해 사실을 왜곡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사회 좌파의 잘못된 것들에 대한 우리들의 비판은 게으르지 않을 것입니다.

-대중의 바다를 향해
저희들의 언론 활동의 중심 가치는 민중의 삶을 더 풍부하게, 더 즐겁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대중과 함께 했을 때 가능하며, 언론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정치적 견해를 분명히 하면서 공정성과 함께 대중성을 얻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젊고 발랄한 매체를 향해
신자유주의 시대 민중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헤쳐 나가는 싸움은 엄정합니다. 그러나 저희는 칙칙한 진보를 거부합니다. 엄숙해야 할 때가 있지만, 엄숙주의는 사양합니다. 젊고 발랄하고 때론 발칙한 상상력이 가득한 매체를 만들 것입니다.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내소사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서 북쪽으로 1.2km 정도의 거리에 있는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에 창건 되었다고 전한다. 혜구(惠丘)두타 스님이 이 곳에 절을 세워 큰 절을 '대소래사', 작은 절을 '소소래사'라고 하였는데 그 중 대소래사는 불타 없어지고 지금의 내소사는 소소래사이다.
보유한 문화재로는 국가 지정문화재 4점과 지방 유형문화재 2점이 있다. 또한 잘 보존된 봉래루 화장실 등 옛 건축물과 근래에  신축한 무설당, 진화사, 범종각, 보종각, 선원, 회승당 등의 건축물이 도량에 조화롭게 잘 자리잡고 있다.

대웅전 꽃살문양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대웅전은 조선시대때 건립된 것으로 전면에 꽃살무늬를 조각한  문짝을 달았는데 이들은 모두  정교한  공예품들이며, 단청이 없어 더욱 자연스러운 고찰 분위기를 자아낸다. 추녀 아래 귀한 대와 내부 충량머리는 용머리를 조각하였으며,전내 후불벽에는 백의관음보살좌상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후불벽화로는 가장 큰 것이다.
경내에는 이 외에도 고려 동종, 법화 경절 본사본,   영산회 괘불탱화 등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설선다와 요사,  삼층석탑 등의 지방유형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설명출처 : http://www.visitkorea.or.kr/ya/gg/yagg_mv0.jsp?i_seqno=2368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웅보전은 잘 보존되어 있으며, 꽃살 문양의 아름다운 모습을 눈여겨 봐도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선당의 구부러진 기둥도 보기가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세워졌지만 신라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균형미가 그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웅보전 좌측의 돌담인데, 무슨 소원을 이리 빌었을까?

Posted by 해를캐다

Response
,

« Previous : 1 : 2 : 3 : 4 : Next »